안녕하세요! 오늘은 우분투(Ubuntu)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리눅스 커널(Linux Kernel)이 각 버전별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지 상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 우분투 16.04부터 다가올 25.04까지, 각 릴리스에 탑재된 커널 버전과 그 주요 특징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. 🚀
우분투 16.04 LTS (Xenial Xerus) - 커널 4.4 🌿
2016년에 출시된 우분투 16.04 LTS는 리눅스 커널 4.4를 기반으로 안정성과 장기 지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. 이 커널의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.
향상된 하드웨어 지원: 인텔 스카이레이크(Skylake) 프로세서 지원이 개선되어 당시 최신 노트북과 PC에서 더 나은 성능과 전력 효율을 보여주었습니다.
가상 GPU 드라이버 3D 지원: 가상 머신(VM) 환경에서도 3D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가상화 환경의 그래픽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.
TCP 서버 성능 향상: TCP 리스너 처리가 완전히 잠금 없는(lockless) 방식으로 변경되어, 초당 수백만 개의 SYN 패킷을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웹 서버의 확장성과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.
보안 강화: eBPF(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) 기능이 확장되어 권한 없는 사용자도 eBPF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, 이를 통해 더 유연한 네트워킹 및 추적 기능이 가능해졌습니다.
우분투 18.04 LTS (Bionic Beaver) - 커널 4.15 🐾
우분투 18.04 LTS는 리눅스 커널 4.15를 탑재하여 보안과 성능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.
멜트다운 및 스펙터 완화: 전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CPU 보안 취약점인 멜트다운(Meltdown)과 스펙터(Spectre)에 대한 완화 조치가 적용되어 시스템 보안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.
AMD 보안 가상화 지원: AMD의 SEV(Secure Encrypted Virtualization) 기능이 추가되어, 가상 머신의 메모리를 암호화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게스트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전력 관리 개선: 전력 소모가 많은 SATA Link Power Management 기능이 개선되어 노트북 사용자의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 기여했습니다.
새로운 하드웨어 지원: 다양한 최신 하드웨어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으며, 특히 AMD 라데온 그래픽 드라이버의 성능 개선이 눈에 띄었습니다.
우분투 20.04 LTS (Focal Fossa) - 커널 5.4 Fossa
2020년의 주인공, 우분투 20.04 LTS는 리눅스 커널 5.4와 함께 출시되었습니다. 이 버전은 특히 성능과 보안 기능이 돋보였습니다.
커널 잠금 모드(Lockdown Mode): 루트(root) 계정이라도 커널의 핵심 기능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여,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하는 중요한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. 이는 시스템이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되었을 때 커널 수준의 수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WireGuard VPN 지원: 빠르고 현대적인 VPN 기술인 와이어가드(WireGuard)가 커널에 기본으로 포함되어, 사용자들이 더 쉽고 안전하게 VPN을 구성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exFAT 파일 시스템 지원: 마이크로소프트의 exFAT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가 커널에 통합되어, SD 카드나 USB 드라이브 등 외부 저장 장치와의 호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.
VirtIO-FS 도입: 가상화 환경에서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파일 공유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VirtIO-FS가 도입되었습니다.
우분투 22.04 LTS (Jammy Jellyfish) - 커널 5.15 🐙
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버전 중 하나인 우분투 22.04 LTS는 리눅스 커널 5.15를 기반으로 합니다.
새로운 NTFS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: NTFS3 드라이버가 커널에 추가되어, 윈도우의 NTFS 파티션에 대한 읽기 및 쓰기 성능과 기능 지원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. 이로 인해 듀얼 부팅 사용자들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.
인텔 Alder Lake 지원: 인텔의 새로운 하이브리드 아키텍처인 Alder Lake 프로세서에 대한 지원이 개선되어, 성능 코어(P-core)와 효율 코어(E-core)를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Apple M1 칩 초기 지원: Apple의 M1 칩에 대한 초기 지원이 포함되어, ARM 기반 맥북에서도 리눅스를 사용하는 길이 열리기 시작했습니다.
실시간 처리(Real-time) 개선: PREEMPT_RT 패치셋의 일부가 통합되어 실시간 컴퓨팅 환경에서의 지연 시간을 줄이고 예측 가능성을 높였습니다.